-
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공정 관련 소개
가스터빈에서 천연가스를 연소해 발전하고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됩니다.
- 1공기 압축기에서 외부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용 공기로 공급합니다.
- 2연소기에서 공기와 연료(천연가스)를 혼합하여 연소시킵니다.
- 3연소가스로 발전기와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킵니다.
- 4터빈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합니다.
- 5가스터빈을 회전시키고 배기덕트로 나온 배기 가스를 배열회수 보일러로 보냅니다.
가스터빈Gas Turbine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7HA.02
- 단수
- 4단
- 출구온도
- 631 ℃
- 형식
- W501D5(Westinghouse)
- 단수
- 4단
- 입력온도
- 1118 ℃
- 출구온도
- 530 ℃
가스터빈 & 압축기
압축기Compress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축류형
- 단수
- 14단
- 압축비
- 20.2
- 공기량
- 685kg/s
- 형식
- 축류형
- 단수
- 19단
- 압축비
- 14.1
- 공기량
- 297kg/s
가스터빈 & 압축기
연소기Combust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Can annular reverse flow
- 버너
- 12개
- 연료량
- 61.28ton/h
- 형식
- Canannular
- 버너
- 14개
- 연료량
- 23ton/h
연소기
발전기Generat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3상2극 수소냉각식
- 용량
- 342MW
- 역률
- 0.9
- 주파수
- 60.0 Hz
- 전압
- 25.0 kV
- 형식
- 3상2극 공기냉각식
- 용량
- 128MW
- 역률
- 0.9
- 주파수
- 60.0 Hz
- 전압
- 13.8 kV
발전기
공정 내 설비 제원 보기 공정으로 이동
-
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공정 관련 소개
배열회수 보일러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킵니다.
- 1가스터빈에서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열회수 보일러로 유입됩니다.
- 2배열회수 보일러는 가스터빈 배기가스를 이용, 증기를 만들어 증기터빈 또는 지역난방수 가열기로 보냅니다.
배열회수 보일러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자연순환 (단순개방형)
- 증기발생용량
- HP 308.6 ton/h, RH 343.1 ton/h, LP 36.5 ton/h
- 입구온도
- 520 ℃
- 증기온도
- 600 ℃
- 압력
- 고압 : 148.73 kg/㎠, 중압 : 30.03 kg/㎠, 저압 : 5.69 kg/㎠
- 형식
- 강제순환식
- 증기발생용량
- HP 156.8 ton/h, LP 47.3 ton/h
- 입구온도
- 530 ℃
- 증기온도
- 462℃
- 압력
- 고압 : 78.8 kg/㎠, 저압 : 6.0 kg/㎠
발전기
공정 내 설비 제원 보기 공정으로 이동
-
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공정 관련 소개
증기를 이용하여 스팀터빈 발전도 하고 난방열도 가열합니다.
- 1고압증기를 이용해 고압터빈을 돌리고 나온 증기는 저압터빈으로 보내지고 일부는 난방수 가열기로 보내집니다.
- 2저압터빈을 돌리고 나온 증기는 복수기에서 물로 변환됩니다.
고압터빈 & 저압터빈HP & LP TBN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반동터빈
- 단수
- HP(24단), IP (12단), LP (5단 X 2)
- 증기온도
- HP 600℃, IP 600℃, LP 307.5℃
- 회전수
- 3,600 rpm
- 형식
- 반동터빈
- 단수
- HP(17단), LP (6단)
- 증기온도
- HP 503℃, LP 158℃
- 회전수
- 3,600 rpm
스팀터빈
발전기Generat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3상2극 공냉식
- 용량
- 170.1MW
- 역률
- 0.9
- 주파수
- 60.0 Hz
- 전압
- 12.0 kV
- 형식
- 3상2극 수소냉각식
- 용량
- 180MW
- 역률
- 0.9
- 주파수
- 60.0 Hz
- 전압
- 18.0 kV
발전기
난방수 가열기Heating Water Heate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Shell (증기) / Tube (Water)
- 입구온도
- 55℃
- 출구온도
- 120℃
- 열출력
- Mode Ⅰ (278 Gcal/h) Mode Ⅳ (360 Gcal/h)
- 형식
- Shell (증기) / Tube (Water)
- 입구온도
- 65℃
- 출구온도
- 120℃
- 열출력
- Mode Ⅰ (357 Gcal/h) Mode Ⅳ (410 Gcal/h)
난방수 가열기
냉각탑Cooling Towe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형식
- Wet - Dry
- 수량
- 8 CELLS
- 용량
- 23,170 ton/h
- 형식
- Wet - Dry
- 수량
- 10 CELLS
- 용량
- 32,370 ton/h
냉각탑
공정 내 설비 제원 보기 공정으로 이동
-
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공정 관련 소개
난방수 가열기를 통해 115℃ 난방수로 만들어 냅니다.
- 1지역난방에 사용 후 회수된 저온의 난방수를 가열기로 보냅니다.
- 2증기터빈으로부터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습니다.
- 3지역난방수 가열기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여 난방수를 가열합니다.
- 4동절기 및 비상시에는 온수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방열을 추가 생산합니다.
- 5자원회수시설 운영 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회수하여 난방열로 활용합니다.
- 6열생산설비에서 생산된 난방수를 수용가에 공급하고 남는 열을 축열조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시기에 방열을 통하여 지역난방 수용가에 공급합니다.
난방수 가열기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FACILITIES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자원회수시설(소각열)Resource Recovery Facility(Incineration Heat)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안양
- 열생산용량 21 Gcal/hr
- 군포
- 열생산용량 12 Gcal/hr
- 광명
- 열생산용량 23 Gcal/hr
- 과천
- 열생산용량 6 Gcal/hr
- 대장동
- 설치수량 1기 열생산용량 15Gcal/hr
보일러설비Boile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부천
- 사용연료
- LNG
- 형식
- 수관식
- 용량
- 열생산용량 140Gcal/hr (1기), 180Gcal/hr (1기)
- 사용연료
- LNG
- 형식
- 수관식
- 용량
- 열생산용량 102Gcal/hr (1기), 140Gcal/hr (1기)
지역난방 공급에 필요한 열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연소장치, 통풍장치, 급수 · 연료공급장치, 자동제어장치, 전기집진기, 연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지역난방 온수를 가온하게 됩니다.
축열조Accumulator설비 제원 소개- 안양
- 용량 20,000 ㎥ X 2
- 부천
- 용량 25,000 ㎥ X 2
- 1지역난방 공급에 필요한 열을 일시 저장하는 시설입니다.
- 2열을 수요가 적은 시간에 저장하고, 수요가 높은 시간에 공급합니다.
- 3지역난방수 계통에 적정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4열생산 설비 고장시 비상열원으로도 활용합니다.
-
지역난방 공급에 필요한 열을 일시 저장하는 시설로 열수요가 낮은시간에 저장하였다가 열 수요가 높은 시간에 공급함으로써 열 생산시설의 신축성있는 운영과 지역난방 열배관 전체에 알맞은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, 열생산 설비 고장발생시 비상열원으로도 활용합니다.
축열_열 수요가 낮은 시간에 저장
방열_열 수요가 높은 시간에 공급
펌프Pump설비 제원 소개공급펌프 : 동절기 원활한 열공급을 위하여 가동- 안양
- 5기 3,000 ㎥/hr X 2, 4,500㎥/hr X 3
- 부천
- 6기 3,400 ㎥/hr X 3, 2,300 ㎥/hr X 3
회수펌프 : 열생산설비(1,2차 난방수가열기, 온수/열전용 보일러)에서 난방열을 생산시 가동- 안양
- 5기 3,000㎥/hr X 4, 4,500㎥/hr X 1
- 부천
- 11기 3,000㎥/hr X 5, 3,400㎥/hr X 2, 1,100㎥/hr X 2, 1,050㎥/hr X 2
축방열펌프 : 축열조에 열을 방열/축열 시 가동- 안양
- 3기 1,000 ㎥/hr X 3
- 부천
- 3기 3,150 ㎥/hr X 3
-
축방열펌프 : 축열조에 열을 방열 혹은 축열시 가동
- 안양
- 3기 1,000 ㎥/hr X 3
- 부천
- 3기 3,150 ㎥/hr X 3
공정 내 설비 제원 보기 공정으로 이동
-
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공정 관련 소개
사용자의 기계실에서 각 가정 또는 사무실로 공급합니다.
- 1공급받은 90℃ ~ 115℃ 난방수로 기계실에서 각 가정 또는 사무실로 공급될 물을 데웁니다.
- 2사용되고 식은 난방수를 다시 난방수 가열설비로 보냅니다.
- 3각 사용자 설비(아파트단지)에는 난방용/급탕용이 각각 설치되어 있습니다.
- 4사용되는 급탕 온수는 사용자설비(아파트단지)의 수돗물을 가열하여 공급됩니다.
판형 열교환기Plate Heat Exchanger설비 제원 소개- GS파워에서 공급받은 90℃ ~ 115℃ 난방수로 판형 열교환기에서 전도열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비의 난방수를 데웁니다.
공정 내 설비 제원 보기 공정으로 이동
-
Mode Ⅰ
운전 열병합발전의 대표적인 운전방법으로 가스터빈과 고압증기터빈으로 전력을 생산하고, 고압증기터빈에서 나온 증기로 난방열을 생산하는 운전방법
가스터빈 + 배열회수보일러 + 고압증기터빈 + 고압,저압 열교환기Mode Ⅱ운전 가스터빈 단독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운전방법
가스터빈 단독운전 (Single Cycle)Mode Ⅲ운전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으로 전력을 최대로 생산하는 운전방법(여름철)
가스터빈 + 배열회수보일러 + 고압증기터빈 + 저압증기터빈Mode Ⅳ4A Mode운전 가스터빈으로 전력을 생산하고,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로 난방열을 생산하는 운전방법(최대 열생산 운전)
가스터빈 + 배열회수보일러 + 고압,저압 증기열교환기
4B Mode운전 가스터빈으로 전력을 생산하고,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컨덴서에서 응축시켜 냉각탑으로 열을 보내는 운전방법
가스터빈 + 배열회수보일러 + 컨덴서Mode Ⅴ운전 Mode Ⅰ과 Mode Ⅲ을 혼합한 운전방법
가스터빈 + 배열회수보일러 + 고압증기터빈 + 저압증기터빈 + 고압,저압 열교환기각 모드별 설명 보기